자유게시판

자유게시판
한국희곡작가교육원에서 제2기 수강생을 모집합니다
작성자한 * *등록일2004-08-01

교육원 제2기 모집요강

한국희곡작가 교육원

2004년 제2기 수강생을 모집합니다.

사단법인 한국희곡작가협회에서는 희곡 창작의 활성화와 신인희곡작가의 육성을 위하여 부설기관으로 한국희곡작가 교육원을 개설하였습니다. 2004년 3월 29일 개원과 더불어 첫 강의를 시작한 한국희곡작가교육원은 실제적인 창작실습과 현장에서 활동하는 선배작가들과의 교류를 통해 희곡작가지망생에게 전업작가로서의 진출을 적극 도모하고자 합니다.

1.모집요강

1>모집분야
구 분 정원 강의기간 및 시간 응모자격
(주야간)
기초반 00명 6개월(주1회 2시간) 수강 능력있는 누구나
(주야간)
연수반 00명 6개월(주1회 2시간) 서면인터뷰, 시놉시스
(주야간)
전문반 0명 6개월(주1회 2시간) 작품심사, 면접

창작반 0명 6개월 본 원 1학기 이상 수료자로
작품심사에 합격한 자.
(전액 장학금 지급)


2>수강시간
기초반 : 주간반 오전 10시~12시 / 오후 6시~8시
연수반 : 주간반 오전 10시~12시 / 오후 8시~10시
전문반 : 주간반 오전 10시~12시 / 오후 8시~10시
창작반 : 시간 별도 지정

※ 요일은 추후 공지
※ 주간반의 경우, 각 반의 인원이 미달될 경우, 합반 할 수 있습니다.


3> 교육장소 : 본 협회 사무실(대학로) / 아트홀 스타시티(대학로)



4>교육특징
현장에서 요구되는 실기위주의 교육을 통해 직업작가로서의 진출을 도모함. 연극기획자에서부터 배우, 스텝, 연출가까지 창작에 필요한 실제 특강 시행.

5>전형방법
기초반 : 서류심사
연수반 : 서류심사
전문반 : 작품심사 및 면접
창작반 : 작품심사 및 면접

6>구비서류
(협회 싸이트에 오시면 /수강신청서를 다운로드 받으실 수 있습니다.)
수강신청서 1통 (본원 소정약식, 사진 2매 첨부)
자기소개서 1매(A4용지)(기초반에 해당)
서면 인터뷰, 시놉시스 (A4용지)(연수반에 해당)
작품첨부( 연수반, 전문반, 창작반, 공모수상자 지원자)

* 기초반 : 자기소개서
* 연수반 : 서면 인터뷰, 시놉시스 또는 희곡작품 (원고지 매수 상관없음)
* 전문반 : 단막 또는 장막극 (작품 2편 이상) , 면접
* 창작반 : 단막, 장막극 (작품 2편 이상)
* 공모 입상자 : 확인증빙서류 및 작품

7>원서교부 및 접수
2004년 8월 2일 (월) ~ 8월 31일 (화)
◈E-MAIL 접수 : easybye@empal.com 교육원 간사 최원종
◈송부처: 우)110-524 서울 종로구 명륜동 4가 173-2 4층
한국희곡작가교육원 담당자 앞

8>합격자 발표
2004년 9월 1일 (수) 전화통화 및 빠른우편으로 개별 통지 또는 홈페이지 게시

9>등록기간 및 방법
2004년 9월 1 (수) ~ 6일 (월)
외환은행 납부 (본원 직접납부는 하지 않음)
외환은행 온라인 구좌 : 024-22-02372-3 사)한국희곡작가협회
- 송금자 기재 방법 -
예) <기초반> 홍길동 (6자를 쓸 수 있음)

10>개강일
2004년 9월 13일 (월)

11>문의처
한국희곡작가협회 02) 3673-0218 / 3673-0535
(담당 : 최원종 011-9776-8410)

12>역점사업
*주요 일간지 신춘문예 희곡 당선자 배출
*계간 한국희곡 신인상(춘계, 추계) 당선자 배출
*계간 한국희곡 신인상 공모 입상자 및 최종심사(본선) 진출자에 대한
장학제도 시행으로 우수인력 육성.

2.담임 및 특강 강사

◆담임 소개
(기초반)
* 김대현 - 한국희곡작가협회 이사장
전문예술법인 창작마을 대표이사
수상경력: 한국희곡문학상
중구문화예술상
한국일보 신춘문예 희곡<외등아래> 당선
탐미문학상
공연희곡:외등아래/아리수별곡/라구요/립스틱바른꽁치/강삼삼고삼삼/
환승역/그림자를 찾아서/
연출작품:미혼부/실타래/나도 부인이 하나 있었으면 좋겠어요/화부/
구두코와 구두굽/노가리/여자의 성/내가 없는 방/구멍/

(연수반)
*차근호 - 중앙일보 신춘문예 희곡부문 당선(1997)
삼성문학상 장막희곡 부문당선 (2000)
수상경력: 2000년 동아연극상 작품상
2000년 내일을 여는 젊은 작가(한국문화예술진흥원)
2001년 창작마을 희곡문학상
2001년 한국희곡신인문학상
공연희곡:
1997년 천국에서의 5월
1999년 조선제왕신위
2000년 사랑의 기원
2000년 천년제국1623년
2001년 닭에 대한 논리
2002년 암흑전설 영웅전
2002년 갑옷을 입은 투란도트
2003년 하우스(The House)

(전문반)
*선욱현 - 문화일보 신춘문예 희곡부문 당선(1995)
대산창작기금 수혜(2002)
수상경력: 1997년 월간 <한국연극> 주관, 서울 지역 일간지 연극담당
기자들이 뽑은 <97젊은 연극인상> 극작부문 수상
2000년 한국희곡신인상 수상
공연연보:
1995년 피카소, 돈년, 두보
1996년 중독자들
불면
1997년 백일천사
1998년 절대사절
여자의 아침
2000년 악몽
2001년 고추말리기
2002년 장화홍련 실종사건
생고기 전문
2003년 영종도 36km▶
2004년 의자는 잘 못 없다 (5차 공연)

(창작반)
◈ 오태영- 중앙일보 신춘문예 희곡부문 당선(1974)

수상경력: 한국희곡문학상 본상(1982)
현대문학상(제32회희곡부문 수상1987)
우수공연 베스트5 희곡상(1999)

공연희곡: 아득하면 도리라

임금알
매춘
바람 앞에 등을 들고
호텔 피닉스에서 잠들고 싶다
통일 익스프레스
돼지비계
불타는 소파
2003년 콩가루
2004년 조통면옥
2004년 호텔 피닉스에서 잠들고 싶다



3. 커리큘럼

(기초반)
<강의목적>
무대언어를 사용하는 희곡의 특수성과 타 장르와의 비교, 그리고 연극현장에서 요구되는 실기와 경험을 포괄적으로 가르친다. 또한, 각 강사진들이 희곡 쓰기에 자기 스스로 가장 중점을 두었던 극작법과 개인적인 노하우도 강의한다.

<총 24주: 강의 10주 /특강 14주>
1. 희곡이란 무엇인가?
2. 희곡문학과 타쟝르 문학의 비교
3. 영상언어와 무대언어
4. 극작가의 자세와 창작의 기본
5. 극작 개론
6. 극작 기초 - 공연성과 문학성
7. 희곡읽기와 장면분석1
8. 희곡읽기와 장면분석2
9. 콘티와 시납시스
10. 무대의 구성요소
11. 희곡의 형식과 구조
12. 인물관계도 - 성격창조
13. 희곡쓰기1 - 대사와 지문
14. 희곡쓰기2 - 구어체와 문어체
15. 현장 실습1
16. 현장 실습2
17. 현장 실습3
17. 희곡의 이론과 실제
19. 종합토론



(연수반)
<강의목적>
모든 문학의 장르 중 가장 기술적인 작법을 요하는 희곡은 극작술에 대한 탐구와 습득이 그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제한된 공간과 시간 속에서 모든 것을 담아내야 하는 희곡의 특성상 극작술의 강조는 당연하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연수반의 강의 목적은 이러한 극작술을 머리로 이해는 단계를 넘어 실제 창작과 토론, 수정을 통해 몸으로 육화하는 것에 있다. 희곡 창작을 처음 시도하는 작가 지망생은 물론 그 동안 창작을 해왔던 예비 작가들에게 지속적인 창작을 유도하여 극작술에 대한 실질적인 체득에 중점을 두도록 진행될 것이다. 그리고 연극 현장에서 활동하고 있는 작가, 연출가, 기획자 등의 특강을 통해 교과서적인 이론이 아니라 현장의 살아있는 경험과 지식을 전달할 것이다.

<총 24주: 강의.워크숍 19주 /특강 5주>
1. 오리엔테이션/한국 희곡문학의 정체성
2. 극이란 무엇인가? (희곡론1)
3. 무엇을 말할 것인가Ⅰ(희곡의 특성의 이해 / 희곡론2)
4. 무엇을 말할 것인가Ⅱ (주제와 형식 / 창작론1)
5. 극적인 인물이란 무엇인가Ⅰ(창작론2)
6. 극적인 인물이란 무엇인가Ⅱ(창작론3)
7. 갈등이란 무엇인가Ⅰ(창작론4)
8. 갈등이란 무엇인가Ⅱ(창작론5)
9. 어떻게 극을 시작할 것인가?(창작론6)
10.설명과 사건(설명하지 말고 사건을 만들라)(창작론7)
11.스토리와 플롯(창작론8)
12.무엇을 보여주고 무엇을 감출 것인가(창작론9)
13.현실논리와 극적논리Ⅰ(창작론10)
14.현실논리와 극적논리Ⅱ(창작론11)
15.행위소 모델(분석 및 검토를 위한 도구)
16.실제적인 글쓰기의 어려움
17.읽혀짐과 보여짐(희곡의 문학성과 연극성)
18.수정과 퇴고
19.희곡저작권과 희곡마케팅

<특강>
1.이러한 희곡이 기획자의 눈을 사로잡는다.
2.무대가 원하는 희곡은 무엇인가?
3.현장에서 살아남는 작가가 되는 법.
4.극장에서 성공하는 작가가 되는 법.
5.또 다른 극작의 세계, 뮤지컬


(전문반)
<강의 목적>
발상에서 구조, 시놉시스, 초고에 이르기까지, 수강생 전원이 단막극 한 편을 완벽하게 탈고 할 수 있도록 전 과정을 지도하며, 그 과정에서 각자의 장단점을 발견할 수 있도록 하며, 각자에게 필요한 극작술을 집중 지도한다.

* 전문반은 2 개의 커리큘럼이 있으며, 수강생분들이 선택해서
1 개의 과정을 이수할 수 있게 함. 또는 본인이 원하는 경우, 2 개의 과정 모두를 이수할 수 있게 함.

--1학기 과정--

*자신의 희곡 장단점 발견하기 / 단막극 쓰기

<총 24주: 강의 24주>
1. 읽고 보고 듣는 과정의 재교육 (4주)
1) 희곡을 분석적으로 읽기
- 국내외 작가들의 작품을 선정, 그들의 개성을 알아보고, 자신의 개성을 발견한다.
2) 공연을 분석적으로 보기
- 공연이라는 실제 상황 속에 무대 언어가 관객과 만나 어떤 화학작용을 일으키는가.

2. 수강생 희곡 읽기와 분석 (10주)
- 수강생들의 희곡을 정밀 분석하여 자신의 희곡을 객관적으로 바라볼 수 있게 하고, 자신의 단점 동시에 자신만의 개성을 발견케한다.

3. 집중적인 단점 개선과 단막극 쓰기 (10주)
1) 자신만의 단점을 고칠 수 있게 집중적으로 지도한다.
2) 전문반 과정이 끝날 즈음엔 50분 내외의 단막극을 완성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 발상
- 테마
- 자료조사
- 에피소드 만들기
- 구조 만들기 (국면)
- 구체적인 형상화 (시놉시스 만들기, 트리트먼트 만들기)
- 대사와 지문 쓰기
- 특강 강사를 초빙하여 완성된 희곡을 분석해본다.

-- 2학기 과정 --
<총 24주: 강의 24주>

* 인물 만들기 / 이야기 만들기

1. 인물 만들기 (8주)
1) 인물 창조때 고려해야 할 6가지 특성
2) 인물 성격화에 중요한 특질
3) 인물의 유형
4) 실습 - 실제로 한 인물을 만들어보기 (인물에서 이야기로의 발전과정까지)

2. 이야기 만들기 (8주)
1) 좋은 스토리의 기본 요건
2) 이야기를 구성하는 10가지 요소
3) 기승전결이란 무엇인가 (9개의 장 나누기)
4) 구성의 실제 기술 (실습 병행)
가. 첫 장면 쓰기
나. 재미있는 전개란 무엇인가
다. 클라이막스
라. 라스트 씬 만들기

3. 구체적인 이야기 기술들 (4주)
- 개연성, 복선, 반전 및 대사와 지문 쓰기의 실제 등

4. 실습 - 이야기 만들기 (4주)
1) 주인공의 강렬한 의지 만들기 - 무엇을 하려는 인물인가
2) 방해자 만들기 - 어떤 시련을 겪을 것인가
3) 우여곡절 - 도전과 극복의 과정, 반전 포함
4) 결말 - 여운을 남기는 명료한 마무리


(창작반)
<강의목적>
작전액 장학금을 지급하며, 전문반까지 본 교육원 과정을 수료한 수강생 대상으로, 원로 중견 작가 선생님을 초빙하여 전문작가로의 도약을 목표로 심도 깊은 교육을 실시한다. 또한 작가 의식과 희곡 작가의 길, 개인 및 그룹별 극작 워크숍 희곡 저작권과 희곡마케팅에 대해 집중적으로 배운다.

▶ 작가 의식과 희곡 작가의 길
▶ 개인 및 그룹별 극작 워크숍
▶ 희곡 저작권과 희곡마케팅


자세한 사항은 www.kpw.or.kr 오셔서 확인하시면 됩니다.

답변     글쓰기 목록

대표문의

031.828.5841 월·일요일(공휴일)
전화·방문예매 불가